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래의 해저 도시 가능할까? 심해 거주 기술 연구

by 스마트 룰루 2025. 3. 25.
728x90
반응형

1. 해저 도시의 필요성: 왜 바다 속에서 살아야 하는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 인구 증가, 자원 고갈 문제가 심화되면서
대안적인 거주 공간으로 '해저 도시'가 주목받고 있다.

① 해저 도시의 개념과 가능성

  • 해저 도시는 지구 표면의 71%를 차지하는 바다를 활용하여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하는 프로젝트다.
  • 과거에는 공상과학에서만 등장했지만, 최근 해양 건축 기술과 생존 시스템 연구가 발전하면서 현실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해저 도시는 단순한 연구 시설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인류의 거주지로 기능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② 해저 도시의 필요성: 기후 변화와 인구 증가 문제 해결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사라질 위험이 있는 섬나라와 해안 도시의 대체 거주지로 활용 가능하다.
  • 전 세계 인구 증가로 인한 토지 부족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 육상의 환경 부담을 줄이고 바다 속에서 친환경적인 자원 순환형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이처럼 해저 도시는 기후 변화와 자원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거주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래의 해저 도시 가능할까? 심해 거주 기술 연구


2. 해저 거주 기술의 핵심 요소: 산소, 물, 에너지 공급

해저에서 인간이 생존하려면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특히 산소 공급, 담수 확보, 전력 생산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① 산소 공급 시스템: 심해에서 호흡을 유지하는 방법

  • 해저 도시는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거나, 자체적으로 산소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 물 전기분해 기술(2H₂O → 2H₂ + O₂)을 활용하여 산소를 생성할 수 있다.
  • 이산화탄소(CO₂) 제거 기술을 병행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해야 한다.

② 담수 확보: 바닷물을 식수로 바꾸는 방법

  • 해저 도시는 바닷물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담수화 기술이 핵심이다.
  • 역삼투압(RO) 방식과 다단계 증발(MED) 기술을 활용하여 바닷물을 식수로 변환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③ 에너지 공급: 해저 환경에서 전력을 확보하는 방법

  • 해류 발전과 조력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 심해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는 해양 열에너지 변환(OTEC) 기술도 연구되고 있다.
  • 원자력 기반의 소형 모듈 원자로(SMR)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도 크다.

이처럼 산소, 물,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기술이 해저 도시 실현의 필수 요소다.


3. 해저 건축 기술: 심해 환경에서 안전한 도시를 구축하는 방법

해저 도시는 수압, 부식, 지진, 해일 등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① 해저 건축 구조: 강력한 수압을 버틸 수 있는 재료 개발

  • 심해에서는 수압이 1,000m당 약 100기압에 달하기 때문에 일반 건축 재료로는 버틸 수 없다.
  • 티타늄 합금, 탄소섬유 강화 복합소재, 특수 유리섬유 패널 등을 사용해 강력한 압력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 둥근 돔 형태의 구조물은 수압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강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연구되고 있다.

② 해저 도시의 부유형 vs. 고정형 구조

  • 해저 도시는 해저 바닥에 직접 고정하는 방식부유형(플로팅) 방식으로 구분된다.
    • 고정형 해저 도시: 해저 바닥에 고정되며, 안정성이 높지만 지진과 해저 지형 변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부유형 해저 도시: 해저 바닥과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부력을 이용해 일정 깊이에 떠 있는 방식으로, 조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

③ 해저 내부 환경 조절: 기온, 습도, 조명

  • 해저 도시는 태양광이 닿지 않는 환경이므로, 인공조명을 활용하여 인간의 생활 리듬을 조절해야 한다.
  • 공기 정화 시스템과 온도 조절 장치를 통해 습도와 산소 농도를 최적화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처럼 해저 건축 기술은 수압과 환경 변화를 고려한 강력한 구조와 내부 환경 유지 기술을 포함해야 한다.


4. 미래의 해저 도시: 실제 프로젝트와 실현 가능성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해저 도시 실현을 위한 연구와 시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① 실제 진행 중인 해저 도시 프로젝트

  • "Ocean Spiral"(일본 시미즈 건설)
    • 일본의 시미즈 건설은 100년 후 실현될 해저 도시 'Ocean Spiral'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 해저 3,000m까지 연결되는 나선형 구조를 통해 산소, 물, 에너지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도시 모델을 연구 중이다.
  • "SeaOrbiter"(프랑스)
    • 프랑스에서는 해양 탐사를 위한 부유형 연구소 **"SeaOrbiter"**를 개발하고 있다.
    • 이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해양 거주 시설로 확장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② 해저 도시가 실현되기 위한 기술적 과제

  • 경제성 문제: 해저 도시 건설에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며, 상업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모델이 부족하다.
  • 장기 거주 문제: 인간의 신체는 장기간 해저 환경에서 적응하기 어려우며, 심해 압력과 폐쇄적 공간에서의 정신적 스트레스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 자원 및 식량 문제: 해저 도시 내에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해양 농업 및 수산업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처럼 해저 도시의 실현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기술적, 경제적 과제가 많다.


마무리

해저 도시는 인구 증가와 기후 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미래형 거주 공간으로 연구되고 있다.

  • 산소, 물, 에너지 공급 기술이 발전하면서 해저 거주가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
  • 해저 건축 기술은 강한 수압을 견디면서도 인간이 장기간 생활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 현재 일본, 프랑스 등의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경제성과 생태계 유지 기술이 해결된다면 실제로 구현될 가능성이 크다.

해저 도시는 더 이상 공상과학이 아니라, 인류가 마주할 수 있는 미래 거주지의 한 형태가 될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