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면에서 보는 표면 거칠기 기호 완벽 해석법 (ISO & KS 기준)

by 스마트 룰루 2025. 7. 7.
728x90
반응형

1. 표면 거칠기란? – RA, RZ의 개념과 차이점

 

표면 거칠기란 가공된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요철(凹凸)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것입니다. 이는 제품의 기계적 성능, 외관 품질, 조립 정밀도 및 마찰 계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면 거칠기의 수치 단위는 **Ra (Roughness average)**와 **Rz (Maximum height of the profile)**입니다.

  • Ra는 측정된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으로, 요철의 평균값입니다.
  • Rz는 가장 높은 점과 가장 낮은 점의 차이의 평균값으로, 깊은 스크래치나 홈이 포함될 경우 Ra보다 훨씬 큰 값을 보입니다.

두 값은 비례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도면에 명시된 거칠기 기준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정밀 가공 부품에서는 0.4μm Ra 미만의 정밀도가 요구되며, 이때는 전해연마 또는 슈퍼피니시 공정이 적용됩니다.

 

 

 

 

 


2. 표면 거칠기 기호의 기본 구성 – ISO 1302와 KS B ISO 1302 해석법

 

도면 상에서 표면 거칠기를 표시하는 기호는 국제표준 ISO 1302 및 한국표준 KS B ISO 1302에 기반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기호는 아래와 같은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1. 가공 허용 (기초 기호): /
  2. 가공 금지 (무가공 유지): / + 바 아래 원
  3. 가공 필수: / + 바 위에 가로선

이 기호 위 또는 옆에 Ra 값, 방향성, 가공 방법 등을 명기함으로써, 원하는 품질 수준을 상세히 지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0.8이라고 기재된 표시는 해당 면을 가공하고 평균 표면 거칠기를 Ra 0.8μm 이하로 맞출 것을 의미합니다. ⌖ 기호는 방향성을 나타내며, 슬래시 방향 또는 수직으로 표시됩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 해석 시 공정 조건과 직결되므로 오해 없이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3. 기호 내 부가 정보의 의미 – 가공 방향, 공정명, 허용 오차 등

 

표면 거칠기 기호에는 단순히 Ra 값뿐 아니라 가공 방향 및 공정 조건 등 부가 정보를 함께 기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형태가 있습니다.

 

 

 
⌖  
──  
Ra 0.8  
MILL  
 
 
  • ⌖ 기호는 가공 방향 없음 또는 임의 방향을 의미
  • Ra 0.8은 해당 면이 평균 거칠기 0.8μm 이하일 것
  • MILL은 밀링 가공을 요구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허용 오차도 병기될 수 있습니다. 예: Ra 0.8~1.6 혹은 Ra 0.8 ±0.2와 같이 기입하여 가공 조건에 여유를 줄 수 있습니다. 이때 기준값을 넘어갈 경우 불량으로 판정되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프로파일 측정기를 활용한 다점 검사가 이루어집니다.

 

 

 

 

 


4. 공정별 표면 거칠기 예시 – 절삭, 연마, 전해연마의 기준값

 

다양한 가공 공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표면 거칠기의 평균치는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공정 방식평균 Ra(μm) 범위비고
선반 가공 1.6 ~ 6.3 일반적인 절삭 가공
밀링 0.8 ~ 3.2 치수 정밀도 중요할 경우 사용
연마 (Grind) 0.1 ~ 1.6 표면 정밀도 높음
전해연마 (EP) 0.1 ~ 0.4 식품/의료/반도체 분야 필수
슈퍼피니싱 0.05 이하 고정밀 기계 부품
 

**전해연마(Electro-Polishing)**는 전기화학적 방식으로 표면의 미세 산화물을 제거하여 거칠기를 낮추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주로 반도체 및 제약 설비 배관에 적용됩니다. 해당 표면의 도면에는 Ra 0.4 이하 또는 “EP-FINISH”라는 텍스트가 병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5. 도면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해와 체크포인트

 

실제 실무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면 거칠기 관련 실수가 자주 발생합니다.

  • Ra 값 단위 착오: mm와 μm 혼용으로 인한 과다 또는 과소 가공
  • 기호 생략/오표기: 슬래시 기호만 쓰고 가공 방식 미기입
  • 전체 표면과 부분 표면 오해: 특정 면에만 요구된 Ra를 전체 적용

이를 방지하려면 도면 내 표면 거칠기 기호가 어디에 위치하고, 어떤 면에 적용되는지 명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제조공정 전 사양서(공정지시서)에도 동일하게 반영되어야 합니다. 또한, KS 및 ISO 기준은 연 1회 개정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최신판을 기준으로 검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마무리 요약: RA 표면 거칠기 도면 해석의 핵심은?

  • 도면의 표면 거칠기 기호는 ISO 1302 또는 KS B ISO 1302 기준을 따름
  • Ra/Rz 수치를 이해하고, 공정별 평균값과 연결해야 함
  • 기호에 포함된 가공 방향, 공정명, 허용 오차 등을 정확히 해석할 것
  •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해와 클레임 포인트를 체크

 

 

 

 

 

 

2025.07.04 - [분류 전체보기] - RA 표면 거칠기란? 표면 처리 후 품질 기준과 허용 오차 정리

 

RA 표면 거칠기란? 표면 처리 후 품질 기준과 허용 오차 정리

1. 표면 거칠기(Roughness)란? – RA(Ra) 정의와 기초 개념 표면 거칠기(Roughness)는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등 재료의 표면이 얼마나 매끄럽거나 거친지를 수치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기계 가공, 연마,

lullu-dailylife.com

2025.07.02 - [분류 전체보기] - SPCC, SPHC, ST12, AISI 1008 철강재 비교표: 기계적 성질과 용도 총정리

 

SPCC, SPHC, ST12, AISI 1008 철강재 비교표: 기계적 성질과 용도 총정리

1. 냉간 압연강판 SPCC의 특성과 적용 분야SPCC 재질은 JIS G 3141 규격에 해당하는 일반 냉간 압연 강판(Cold Rolled Steel Sheet)으로, 주로 자동차 내장 부품, 가전제품 외장, 가구 프레임 등에 사용된다.

lullu-dailylife.com

2025.06.27 - [분류 전체보기] - 배관 부속류(KS B 1541 등) 규격 비교

 

배관 부속류(KS B 1541 등) 규격 비교

✅ 배관 부속류란 무엇인가 – 종류와 기능 정리 배관 시스템에서 '배관 부속류(Fittings)'는 단순한 보조 자재가 아닙니다. 유체의 흐름을 변경하거나 분기하고, 직경을 변경하며, 각종 설비와 배

lullu-dailylife.com

2025.06.26 - [분류 전체보기] - KS/ASTM/ASME 파이프 표준 비교표

 

KS/ASTM/ASME 파이프 표준 비교표

✅ KS, ASTM, ASME 파이프 표준의 개요 및 역할 산업 설비 및 배관 설계에서 사용되는 파이프는 국가 및 기관별 표준 규격에 따라 분류됩니다.그중에서도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이 KS(한국산업표준), AST

lullu-dailylife.com

2025.06.26 - [분류 전체보기] - 파이프 재질별 허용압력 계산법

 

파이프 재질별 허용압력 계산법

✅ 허용압력 계산이 중요한 이유 – 설계와 안전의 핵심 지표 배관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허용압력(Allowable Pressure)’**입니다.이는 파이프가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견딜

lullu-dailylife.com

2025.06.25 - [분류 전체보기] - 파이프 SCH (Schedule) 별 두께 및 사용압력 정리

 

파이프 SCH (Schedule) 별 두께 및 사용압력 정리

✅ SCH(Schedule)란 무엇인가 – 파이프 두께와 압력의 기준 파이프 설계나 배관 공사에서 흔히 마주치는 “SCH” 또는 “스케줄(Schedule)”은 파이프의 두께를 나타내는 국제 규격입니다.이 용어는

lullu-dailylife.com

2025.06.19 - [분류 전체보기] - JIS, DIN, ASTM 금속 규격 간 등가표 완전 정리

 

JIS, DIN, ASTM 금속 규격 간 등가표 완전 정리

✅ JIS, DIN, ASTM 금속 재질 규격이란? – 국제 표준 개념 이해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DIN(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는 각각 일본, 독일, 미국에서 제정한 대

lullu-dailylife.com

2025.06.18 - [분류 전체보기] - SPCC와 ST12, AISI 1008의 등가 비교

 

SPCC와 ST12, AISI 1008의 등가 비교

1. SPCC, ST12, AISI 1008은 어떤 재질인가? – 기본 개념 이해 금속 가공 및 기계 설계에서 자주 언급되는 SPCC, ST12, AISI 1008은 모두 냉간압연강판(Cold Rolled Steel) 중 하나로, 각기 다른 국가 표준에 따라

lullu-dailylife.com

2025.06.16 - [분류 전체보기] - SPCC, SPCE, SPHC란 무엇인가? – 금속 재질 기호의 정의와 기본 개념

 

SPCC, SPCE, SPHC란 무엇인가? – 금속 재질 기호의 정의와 기본 개념

금속 재료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는 SPCC, SPCE, SPHC는 모두 일본공업규격(JIS)에서 정의한 강판 재질의 등급 명칭입니다. 특히 기계 설계, 금속 가공, 제품 사양서 작성 등 실무 전반에서 이 기호들을

lullu-dailylife.com

2025.06.11 - [분류 전체보기] - 패시베이션 vs 피클링(Pickling)의 차이점 완벽 분석: 원리부터 산업 적용까지

 

패시베이션 vs 피클링(Pickling)의 차이점 완벽 분석: 원리부터 산업 적용까지

1. 개념부터 이해하자: 패시베이션과 피클링(Pickling)의 기본 원리 패시베이션(Passivation)과 피클링(Pickling)은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 표면을 처리하여 부식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대표적인 공정

lullu-dailylife.com

2025.06.09 - [분류 전체보기] - ASTM A276 스테인리스강 봉재 규격 상세 해설 및 소재 성분 분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