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테인리스강의 기본 개념과 구조적 특징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은 철(Fe)에 일정량 이상의 크롬(Cr)을 첨가하여 제작된 합금강으로, 일반적으로 크롬 함유량이 12% 이상이면 금속 표면에 치밀한 산화크롬(Cr₂O₃) 피막이 형성되어 녹이나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 보호막은 매우 얇지만 강력하며, 손상되어도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는 스스로 재생된다.
스테인리스강은 결정 구조에 따라 크게 세 가지 계열로 분류된다.
- 오스테나이트계 (Austenitic)
- 대표: 304, 316
- 특징: 비자성, 우수한 내식성, 저온에서도 연성과 인성이 유지됨
- 니켈(Ni) 함량이 높아 가격이 비싼 편
- 페라이트계 (Ferritic)
- 대표: 430
- 특징: 자성 있음, 내식성은 중간 수준, 열전도율 높음
- 니켈 함량이 거의 없어 가격이 저렴
- 마르텐사이트계 (Martensitic)
- 대표: 410, 420
- 특징: 경화 가능, 고강도, 내식성은 낮음
- 칼날, 터빈 블레이드 등에 사용
이번 비교 대상인 304와 316은 오스테나이트계, 430은 페라이트계로, 각각의 화학 조성, 가격, 내식성, 가공성에서 차이가 뚜렷하다.
2. 화학 성분 비교 (ASTM, JIS, KS 규격 기준)
다음 표는 ASTM A240, JIS G4305, KS D3706 규격에서 제시하는 304, 316, 430 스테인리스강의 대표 성분 범위를 비교한 것이다.
C(%) | ≤ 0.08 | ≤ 0.08 | ≤ 0.12 |
Cr(%) | 18.0 ~ 20.0 | 16.0 ~ 18.0 | 16.0 ~ 18.0 |
Ni(%) | 8.0 ~ 10.5 | 10.0 ~ 14.0 | ≤ 0.75 |
Mo(%) | - | 2.0 ~ 3.0 | - |
Mn(%) | ≤ 2.00 | ≤ 2.00 | ≤ 1.00 |
Si(%) | ≤ 1.00 | ≤ 1.00 | ≤ 1.00 |
P(%) | ≤ 0.045 | ≤ 0.045 | ≤ 0.040 |
S(%) | ≤ 0.030 | ≤ 0.030 | ≤ 0.030 |
- 니켈(Ni) 함량은 오스테나이트계 내식성과 성형성의 핵심 요인으로, 430의 저가 이유는 바로 Ni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 **몰리브덴(Mo)**은 316에서만 포함되어 있으며, 염화물 부식(Cl- pitting) 저항성을 크게 높인다.
- 크롬(Cr) 함량은 세 재질 모두 비슷하지만, 결정 구조에 따라 내식성 발휘 정도가 다르다.
3. 기계적 특성 및 물성 비교
기계적 성질은 설계 시 강도와 가공성을 고려하는 핵심 자료다.
인장강도 (MPa) | ≥ 520 | ≥ 530 | ≥ 450 |
항복강도 (MPa) | ≥ 205 | ≥ 205 | ≥ 205 |
연신율 (%) | ≥ 40 | ≥ 40 | ≥ 22 |
경도 (HRB) | ≤ 92 | ≤ 95 | ≤ 89 |
자성 | 없음 | 없음 | 있음 |
- 304/316은 높은 연성과 인성으로 깊은 성형·가공에 적합하며, 용접성이 뛰어나다.
- 430은 연신율이 낮아 깊은 성형에는 부적합하지만, 절곡·절단 가공은 용이하다.
- 자성 여부는 가전·의료·전자 부품 설계에 영향을 미친다.
4. 내식성 평가 및 실제 시험 데이터
내식성은 주로 ASTM G48(염화철 용액 피팅 부식 시험)과 ASTM B117(염수 분무 시험, Salt Spray Test)으로 평가한다.
ASTM G48 (6% FeCl₃, 22℃) | 평균 24~48시간 | 평균 72~120시간 | 평균 8~12시간 |
ASTM B117 (5% NaCl, 35℃) | 200~300시간 | 500시간 이상 | 48~96시간 |
- 316은 몰리브덴 효과로 염분 환경에서 304보다 2~3배 이상 내식성이 높다.
- 430은 염수 분무 시험에서 매우 빠르게 붉은 녹이 발생하며, 실외나 습한 환경에는 부적합하다.
- 304는 일반 대기·실내·산업 환경에서는 충분히 우수한 내식성을 보인다.
5. 산업별 적용 사례
- 304
- 식품 가공 설비, 주방 기기, 의료 장비, 건축 내장재
- 예: 병원 수술대, 커피 머신, 고급 인테리어 몰딩
- 316
- 해양 구조물, 화학 플랜트, 제약 설비, 고급 욕실 하드웨어
- 예: 요트 난간, 해양 플랫폼 배관, 제약사 반응기 탱크
- 430
- 가전제품 외장, 자동차 배기 부품, 실내용 장식재
- 예: 냉장고 도어 패널, 전자레인지 외함, 실내 장식 몰딩
6. 가격 및 조달 전략
- 가격: 316 > 304 > 430
- 국제 시세(2025년 상반기 평균):
- SUS316: 1톤당 약 4,000~4,500 USD
- SUS304: 1톤당 약 3,000~3,500 USD
- SUS430: 1톤당 약 2,000~2,300 USD
- 조달 팁: 외관 중요 부위·부식 위험 높은 부위는 316, 구조물 내부·비접촉 부위는 304, 장식·저가 부품은 430으로 혼합 사용
7. 선택 가이드
- 염분·화학약품 접촉: 316
- 일반 식품·산업 환경: 304
- 건조·저가 적용: 430
- 자성 필요: 430
- 장기 미관·내구성: 316 또는 고급 304
8. 결론
304, 316, 430 스테인리스는 각각 다른 환경과 요구 조건에 최적화되어 있다.
올바른 재질 선택은 장비 수명, 유지보수 비용,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산업 현장에서는 종종 한 프로젝트에서 세 종류를 적재적소에 혼합 적용하는 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비용과 성능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2025.07.17 - [분류 전체보기] - 📘 스테인리스 304 vs 316 vs 430 완벽 비교: 차이점, 용도, 가격, 선택 가이드
📘 스테인리스 304 vs 316 vs 430 완벽 비교: 차이점, 용도, 가격, 선택 가이드
스테인리스는 현대 산업과 생활에 필수적인 소재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304, 316, 430 스테인리스는 건축, 주방, 의료, 화학설비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며, 각 재질은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
lullu-dailylife.com
2025.07.17 - [분류 전체보기] - 📘 SPCC vs SPHC vs SECC vs SGCC 유사재질 완전 정복: 용도, 특성, 선택 가이드
📘 SPCC vs SPHC vs SECC vs SGCC 유사재질 완전 정복: 용도, 특성, 선택 가이드
금속 판재 중 SPCC, SPHC, SECC, SGCC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제조 방식과 특성, 용도가 서로 다릅니다.잘못된 재질 선택은 녹 발생, 강도 부족, 가공 불량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각 재질에 대
lullu-dailylife.com
2025.07.15 - [분류 전체보기] - ASTM·ISO·JIS·KS 규격 완전 비교: 철강·배관 규격 선택의 모든 것
ASTM·ISO·JIS·KS 규격 완전 비교: 철강·배관 규격 선택의 모든 것
산업 현장에서 자주 마주치는 기술적 문제 중 하나는 동일한 재료라도 규격에 따라 치수, 허용오차, 시험방법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특히 ASTM, ISO, JIS, KS 규격은 서로 다른 국가 및 기관에서 제정
lullu-dailylife.com
2025.05.23 - [분류 전체보기] - 304/316 스테인리스 엘보·티 가공 시 치수 공차 이슈와 해결 전략
304/316 스테인리스 엘보·티 가공 시 치수 공차 이슈와 해결 전략
1. 엘보·티 부품에서 발생하는 치수 공차 문제의 실상304 및 316 스테인리스 스틸은 높은 내식성과 기계적 안정성으로 산업용 배관 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재이다. 특히 고온·고압 환
lullu-dailylife.com
2025.05.27 - [분류 전체보기] - ASTM/JIS/KS 규격 비교와 설계 적용 사례
ASTM/JIS/KS 규격 비교와 설계 적용 사례
1. 산업 표준 규격의 개요: 국제 통일 vs 지역 최적화산업용 금속 재료의 설계 및 적용에는 다양한 국가별 표준 규격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ASTM(미국재료시험협회), JIS(일본공업규격), KS(한국
lullu-dailylife.com
2025.05.26 - [분류 전체보기] - 스테인리스 플랜지 규격별 특징과 선택 가이드: JIS, KS, ANSI 차이점
스테인리스 플랜지 규격별 특징과 선택 가이드: JIS, KS, ANSI 차이점
1. 플랜지 규격의 기초 이해와 산업별 적용 배경플랜지(Flange)는 배관, 밸브, 펌프 등과 연결되어 압력 계통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부품으로, 주로 고정밀 연결성과 누설 방지를 위한 역할을 한
lullu-dailylife.com
2025.06.05 - [분류 전체보기] - KS, JIS, SUS 등 국내·일본 금속 규격 완전 정리 가이드
KS, JIS, SUS 등 국내·일본 금속 규격 완전 정리 가이드
1. KS, JIS, SUS란 무엇인가 – 규격의 기본 개념 이해KS 규격, JIS 규격, SUS 재질, 금속 규격 표준KS(Korean Industrial Standards)는 대한민국 산업표준의 약칭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국가기술표준원이
lullu-dailylife.com
2025.06.09 - [분류 전체보기] - ASTM A276 스테인리스강 봉재 규격 상세 해설 및 소재 성분 분석
ASTM A276 스테인리스강 봉재 규격 상세 해설 및 소재 성분 분석
1. ASTM A276이란 무엇인가 – 규격의 정의와 적용 범위 ASTM A276은 미국 재료시험협회(ASTM International)에서 제정한 스테인리스강 봉재(Stainless Steel Bars)에 대한 규격입니다. 이 규격은 압연, 단조, 또는
lullu-dailylife.com
2025.06.11 - [분류 전체보기] - 패시베이션 vs 피클링(Pickling)의 차이점 완벽 분석: 원리부터 산업 적용까지
패시베이션 vs 피클링(Pickling)의 차이점 완벽 분석: 원리부터 산업 적용까지
1. 개념부터 이해하자: 패시베이션과 피클링(Pickling)의 기본 원리 패시베이션(Passivation)과 피클링(Pickling)은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 표면을 처리하여 부식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대표적인 공정
lullu-dailylif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