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88

산업용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사이즈 규격표 및 선택 가이드 1. 스테인리스 파이프의 표준 규격: 외경(OD), 두께(Sch), 길이 기준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파이프는 **외경(Outside Diameter, OD)**과 **두께(Schedule, Sch)**를 기준으로 다양한 표준 규격이 존재합니다.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이프 규격은 ASME B36.19M (스테인리스 전용) 또는 ASME B36.10M (탄소강 및 기타) 표준에 따라 정의됩니다.스케줄(Sch)은 벽 두께를 나타내며, Sch 5S, 10S, 40S, 80S 등이 산업용 파이프에서 자주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2인치(50.8mm) 파이프의 경우, Sch 10S는 약 2.77mm 두께를 가지며, Sch 40S는 3.91mm, Sch 80S는 5.54mm로 두꺼워집니다.길이는 일반적으로 *.. 2025. 4. 21.
316 스테인리스의 몰리브덴(Mo) 함량이 미치는 산업적 영향 1. 몰리브덴(Mo)의 첨가가 316 스테인리스에 미치는 내식성 향상 효과316 스테인리스강은 304 스테인리스보다 높은 내식성을 지니며, 그 핵심적인 차이는 바로 **몰리브덴(Mo)**의 함량에 있습니다.316 스테인리스는 평균적으로 2~3%의 몰리브덴을 함유하며, 이는 염화물(Cl-) 환경에서의 국부 부식(pitting corrosion)과 틈새 부식(crevice corrosion)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몰리브덴은 스테인리스강 표면에 형성되는 **수동 피막(passive film)**의 내구성을 높이고, 피막 손상이 일어나더라도 빠르게 재형성되도록 돕습니다.특히 해양환경이나 염분을 포함한 공정 조건(예: 화학 공장, 제약 산업)에서 304보다 월등한 내구성을 보여주며, 염소이온에 의한 .. 2025. 4. 18.
스테인리스강의 자기성 여부와 정확한 자성 테스트 방법 1. 스테인리스강의 구조와 자기성의 상관관계스테인리스강은 일반적으로 ‘자성이 없다’고 알려져 있지만, 모든 스테인리스가 비자성(magnetic-free)인 것은 아닙니다.스테인리스강은 결정 구조에 따라 오스테나이트계(Austenitic), 페라이트계(Ferritic), 마르텐사이트계(Martensitic) 등으로 분류되며, 이 구조에 따라 자성 여부가 결정됩니다.오스테나이트계 (예: 304, 316): 일반적으로 비자성이나, 가공이나 냉간변형 후 약한 자성을 가질 수 있음페라이트계 (예: 430): 강한 자성을 가짐마르텐사이트계 (예: 410, 420): 경화 가능하며 자성을 지님특히, 304나 316과 같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는 열처리 전에는 자성이 거의 없지만, 절곡, 프레스, 용접 등 기계적 .. 2025. 4. 17.
스테인리스 소재별 연마 방식의 차이와 효과 비교 1. 스테인리스 종류에 따른 물리적 특성 차이스테인리스강은 크게 오스테나이트계(304, 316), 페라이트계(430), 마르텐사이트계(410) 등으로 구분되며, 각 소재는 기계적 성질과 내식성, 연마 특성에 있어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예를 들어, 304와 316은 비자성이고 연성이 높으며, 내식성이 우수한 반면, 430은 자성이 있으며 표면 산화에 상대적으로 취약합니다.이러한 물리적 특성은 연마 방식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경도와 피막 반응성, 산화 피막 두께에 따라 연마 효율성과 효과가 크게 달라집니다.따라서 각 스테인리스 소재에 맞는 연마 방식을 선택하지 않으면, 품질 저하나 부식 문제, 표면 불균일 등의 가공 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기계 연마, 전해 연마, 화학 연마의 .. 2025. 4. 15.
CNC 가공에서 316 스테인리스가 주는 도전과 해결책 1. 316 스테인리스의 소재 특성과 가공 난이도316 스테인리스강은 크롬(Cr), 니켈(Ni), 몰리브덴(Mo)을 포함한 오스테나이트계 합금으로, 뛰어난 내식성과 내열성을 갖춘 고성능 소재입니다. 특히 염분 환경에서의 탁월한 부식 저항성으로 인해 해양, 제약, 화학 플랜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하지만 이와 같은 장점은 CNC 가공 시 도전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316 스테인리스는 경도는 낮지만 전단 저항과 점성이 높아, 절삭 공구에 큰 부하를 주고 공구 수명을 단축시킵니다.또한 열전도율이 낮아 열이 절삭 지점에 집중되며, 이는 가공면의 품질 저하, 칩 배출 문제, 가공 시 진동 발생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합니다. 2. 대표적인 가공 문제: 칩 배출, 공구 마모, 표면 품질.. 2025. 4. 15.
304 스테인리스 파이프 용접 시 발생하는 결함과 대처법 1. 304 스테인리스의 용접 특성: 크롬 산화층과 열영향부(H.A.Z)의 민감성304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며, 용접성 또한 뛰어난 재료로 평가받습니다.하지만 스테인리스는 탄소(C)와 크롬(Cr) 함량에 따라 **열영향부(Heat Affected Zone, HAZ)**에서 크롬 카바이드(Cr23C6) 침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입계부식(Intergranular Corrosion)**의 원인이 됩니다.304 스테인리스는 대표적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로, 용접 시 고온에서 오랫동안 유지될 경우 입계부식과 산화층 형성이 일어나기 쉽습니다.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열입력 제어, 저탄소계(304L)의 사용, 후열처리(Passivation) 등의 대.. 2025. 4.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