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85

📘 ANSI B16.5 vs B16.47 차이점과 적용 사례 완전 정복 플랜지(Flange)는 배관 연결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부품입니다. 특히 산업 플랜트, 정유시설, 발전소 등에서는 잘못된 플랜지 선택이 시공 오류, 누설 사고, 유지보수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혼동하기 쉬운 두 가지 표준, ANSI B16.5와 B16.47의 정확한 차이점과 적용 사례를 비교하여 정리합니다. 🔍 ANSI B16.5란 무엇인가?[키워드: ANSI B16.5 플랜지, 소구경 플랜지 규격]ANSI B16.5는 1/2인치~24인치(15A~600A) 사이의 배관에 적용되는 소구경 플랜지 규격입니다.가장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압력 등급: Class 150, 300, 600, 900, 1500, 2500플랜지 표면: RF(R.. 2025. 7. 18.
📘 SPCC vs SPHC vs SECC vs SGCC 유사재질 완전 정복: 용도, 특성, 선택 가이드 금속 판재 중 SPCC, SPHC, SECC, SGCC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제조 방식과 특성, 용도가 서로 다릅니다.잘못된 재질 선택은 녹 발생, 강도 부족, 가공 불량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각 재질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이 글에서는 실무자가 헷갈리기 쉬운 4대 철강재의 차이점과 적용법을 완벽하게 정리합니다. 🔍 SPCC: 냉간압연 강판 (Cold Rolled Steel Sheet)[키워드: SPCC 특징, 냉간압연 강판, SPCC 용도]SPCC는 JIS G3141 규격에 따른 냉간압연 일반용 강판입니다.압연 방식: 냉간압연 (Cold Rolling)표면 품질: 우수 (매끄럽고 평탄)두께 정밀도: ±0.02~0.05mm 수준도금 여부: 없음🧰 사용 용도사무용 철제 가구가.. 2025. 7. 17.
📘 스테인리스 304 vs 316 vs 430 완벽 비교: 차이점, 용도, 가격, 선택 가이드 스테인리스는 현대 산업과 생활에 필수적인 소재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304, 316, 430 스테인리스는 건축, 주방, 의료, 화학설비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며, 각 재질은 고유한 특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스테인리스 304 vs 316 vs 430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비교하고, 재료 선택 시 고려할 사항까지 상세히 설명합니다. 🔍 스테인리스란 무엇인가? 스테인리스강은 **크롬(Cr)**을 최소 10.5% 이상 포함한 철 합금으로, 녹에 강한 금속입니다. 산화 방지층인 크롬 산화막이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부식에 강한 성질을 가지며, 니켈, 몰리브덴, 탄소 등의 첨가로 강도와 내식성을 조절합니다. 🧪 스테인리스 304의 특징과 용도304 스테인리스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 2025. 7. 17.
ASTM·ISO·JIS·KS 규격 완전 비교: 철강·배관 규격 선택의 모든 것 산업 현장에서 자주 마주치는 기술적 문제 중 하나는 동일한 재료라도 규격에 따라 치수, 허용오차, 시험방법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특히 ASTM, ISO, JIS, KS 규격은 서로 다른 국가 및 기관에서 제정되었으며, 이 규격 간의 정확한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조달 오류, 설계 불일치, 품질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각 규격의 정의부터 실제 적용 시 고려사항까지 상세히 비교합니다. 🔍 규격이란 무엇인가? — 표준의 의미와 목적[키워드: 규격이란, 국제표준, 산업표준, 표준화 목적]‘규격’ 또는 ‘표준(Standard)’은 특정 제품이나 공정에 대해 통일된 기준을 정한 문서입니다. 예를 들어 배관 재료의 내경, 외경, 두께 등을 정한 기준은 해당 재료가 어떤 조건에서도 일.. 2025. 7. 15.
도면에서 보는 표면 거칠기 기호 완벽 해석법 (ISO & KS 기준) 1. 표면 거칠기란? – RA, RZ의 개념과 차이점 표면 거칠기란 가공된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요철(凹凸)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것입니다. 이는 제품의 기계적 성능, 외관 품질, 조립 정밀도 및 마찰 계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면 거칠기의 수치 단위는 **Ra (Roughness average)**와 **Rz (Maximum height of the profile)**입니다.Ra는 측정된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 값으로, 요철의 평균값입니다.Rz는 가장 높은 점과 가장 낮은 점의 차이의 평균값으로, 깊은 스크래치나 홈이 포함될 경우 Ra보다 훨씬 큰 값을 보입니다.두 값은 비례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도면에 명시된 거칠기 기준이 무엇인.. 2025. 7. 7.
RA 표면 거칠기란? 표면 처리 후 품질 기준과 허용 오차 정리 1. 표면 거칠기(Roughness)란? – RA(Ra) 정의와 기초 개념 표면 거칠기(Roughness)는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등 재료의 표면이 얼마나 매끄럽거나 거친지를 수치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기계 가공, 연마, 절삭, 성형, 표면 처리 후 잔재하는 미세한 요철은 제품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이 중 **Ra(Roughness Average)**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표면 거칠기 지표로, 측정 표면의 평균 중심선으로부터 요철의 편차를 수학적으로 평균화한 값입니다. 단위는 일반적으로 μm(마이크로미터) 또는 **μinch(마이크로인치)**로 표시됩니다.예를 들어, Ra 0.2 μm는 거울 수준의 표면 품질을 의미하며, Ra 3.2 μm는 일반적인 선반 가공 수준입니다.따라서 Ra .. 2025. 7.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