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7

304 스테인리스 파이프 용접 시 발생하는 결함과 대처법 1. 304 스테인리스의 용접 특성: 크롬 산화층과 열영향부(H.A.Z)의 민감성304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며, 용접성 또한 뛰어난 재료로 평가받습니다.하지만 스테인리스는 탄소(C)와 크롬(Cr) 함량에 따라 **열영향부(Heat Affected Zone, HAZ)**에서 크롬 카바이드(Cr23C6) 침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입계부식(Intergranular Corrosion)**의 원인이 됩니다.304 스테인리스는 대표적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로, 용접 시 고온에서 오랫동안 유지될 경우 입계부식과 산화층 형성이 일어나기 쉽습니다.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열입력 제어, 저탄소계(304L)의 사용, 후열처리(Passivation) 등의 대.. 2025. 4. 14.
스테인리스 표면 거칠기(Ra) 측정법과 품질 기준 1. 표면 거칠기(Ra)란 무엇인가: 스테인리스 표면 품질의 기준스테인리스의 품질을 판단하는 데 있어 **표면 거칠기(Roughness Average, Ra)**는 핵심적인 지표 중 하나입니다.Ra는 금속 표면의 **평균적인 미세 요철의 크기(μm 단위)**를 의미하며, 숫자가 작을수록 더 매끄러운 표면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Ra 0.2μm는 Ra 1.6μm보다 훨씬 매끈한 표면 상태입니다.스테인리스는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표면 거칠기 기준은 적용 분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식품 산업, 제약 설비, 의료기기, 정밀 가공 부품 등은 높은 위생성과 정밀도를 요구하여 Ra 0.4μm 이하의 표면 품질이 요구되며, 일반 배관용이나 구조용 부품은 Ra 3.2μm 이하가 기준이 될 .. 2025. 4. 11.
316L 스테인리스가 의료기기에 사용되는 이유와 한계 1. 316L 스테인리스의 생체적합성과 의료기기 활용 이유 316L 스테인리스는 의료기기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입니다.가장 큰 이유는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이 우수하다는 점입니다.316L은 몰리브덴(Mo), 니켈(Ni), 크롬(Cr)을 적절히 조합해 내식성이 뛰어나며, 특히 인체 내 체액(혈액, 림프액 등)과 접촉해도 금속 이온이 거의 용출되지 않습니다.이는 체내 삽입형 기구나 수술용 도구에 있어 면역 반응을 유발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316'과 달리 '316L'은 **저탄소 버전(Low Carbon)**으로, 용접 시 결정립계 부식(sensitization) 위험을 줄여 의료기기의 정밀 가공에도 적.. 2025. 4. 9.
304 vs 316 스테인리스: 해양 환경에서의 내식성 비교 실험 1. 해양 환경에서 스테인리스의 부식 문제해양 환경은 스테인리스강이 가장 큰 도전을 받는 장소 중 하나입니다.높은 염도, 습도, 그리고 일정한 온도의 유지로 인해 금속 표면에 '국부 부식(pitting corrosion)'이나 '균열 부식(crevice corrosion)'이 자주 발생하죠.304와 316 스테인리스는 모두 대표적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로 산업에서 폭넓게 사용되지만, 해양 환경에서의 내식성 차이는 결정적인 성능 격차를 만들어냅니다.특히 304 스테인리스는 담수나 실내 환경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보이지만, **해수 환경에서는 염소 이온(Cl⁻)**에 의해 빠르게 부식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반면, 316 스테인리스는 **몰리브덴(Mo)**이 포함되어 있어 염소 이온에 대한 내성이 훨씬 강합.. 2025. 4. 8.
에베레스트 등정 시 생존 전략: 산소 부족과 저체온증 대처법 1. 고산병의 위협과 저산소 환경: 생존을 위한 적응에베레스트는 해발 8,848m에 위치한 세계 최고봉이다.이 고도에서는 대기 중 산소 농도가 해수면의 30% 이하로 떨어진다.이러한 저산소 환경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이를 **고산병(Altitude Sickness)**이라 부르며, 생존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고산병의 증상은 두통, 구토, 호흡곤란, 피로감 등으로 시작된다.심각할 경우 폐부종이나 뇌부종으로 악화되어 생명을 잃을 수 있다.따라서 등반 전에는 반드시 고도 적응(Acclimatization) 과정이 필요하다.등반자들은 베이스캠프에서 수일간 머물며 점진적으로 고도를 올리는 훈련을 한다.하루에 300~500m 이상 상승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도 고산병.. 2025. 4. 8.
우주복의 진화: 극한 환경에서 생존을 위한 최첨단 기술 1. 우주복의 시작: 단순 보호복에서 생명 유지 장치로우주복의 역사는 1960년대 우주 경쟁 시대부터 시작되었다.초기 우주복은 단순한 보호장비에 가까웠다.1959년 머큐리 프로그램의 우주복은 고도 20km 이상의 고압 환경에서 비행사들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제작되었지만, 생명 유지 장치나 자율 기능은 부족했다.이후 제미니 프로그램에서는 기계식 조인트와 비상 생존장치를 포함한 좀 더 진보된 형태가 개발되었다.가장 혁신적인 변화는 아폴로 미션의 우주복(Suit A7L)에서 일어났다.달 표면의 진공, 급격한 온도차, 미세 운석 등 극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다층 구조와 냉각 시스템, 산소 공급 시스템이 탑재되었다.이 우주복은 단순한 보호 장비를 넘어, 인간이 우주에서 생존 가능한 조건을 제공하는 생명 유지 .. 2025. 4. 7.
728x90